앞서 포스팅된 다른 계정의 EC2를 AMI로 복제하여 설정하는 과정을 진행한 후 기존의 서비스와 같이 도메인을 연결하기 위해 작성 되었습니다.
본 글에서는 AWS에서 도메인을 사용하기 위해서 Route53이라는 서비스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 보고자 합니다.
해당 서비스는 유료이며 일정 금액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준비
해당 글은 추후에 올라올 HTTPS를 적용하기 위해서 준비되는 과정 중 하나 입니다.
또한 HTTPS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Domain이 필요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Namecheap, 가비아 등과 같은 서비스를 통해서 도메인을 미리 구매하시기 바랍니다.
AWS 호스팅 영역 생성
AWS의 Route53 서비스에 접속을 하게 되면
위의 화면을 찾으 실 수 있습니다.
호스팅 영역 생성 버튼을 클릭하 시면 앞서 구매하셨던 도메인 이름을 입력하신 후
호스팅 영역 생성 버튼을 클릭하시면 됩니다.
이제 호스팅 영역에 본인이 신청한 도메인 이름으로 호스팅 영역이 생성되었습니다.
해당 링크를 클릭하게 되면 2개의 레코드가 작성되어 있는데
두 가지의 유형 중 NS 유형에 있는 값들이 필요하며, 이를 메모장에 복사하여 두시는 것이 편합니다.
호스팅 영역의 NS 레코드 값 복사
저희는 Namecheap에서 도메인을 구입하였기에 Namecheap의 dashboard넘어가 domain list를 클릭해 주시면
해당 화면을 보실 수 있습니다. 여기서 MANAGE버튼을 클릭하여
네임 서버들의 값을 호스팅 영역에서 생성된 4개의 값으로 모두 복사해서 넣어줍니다.
끝
여기까지 외부의 도메인을 AWS로 가져오는 작업이 완료 되었습니다.
다음 포스트에서는 SSL 보안을 적용한 뒤 EC2에 도메인을 연결하도록 하겠습니다.
'배운것들 정리 >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로드밸런서, 타겟그룹, ACM을 사용하여 HTTP에 SSL 보안 적용하기(HTTPS) (3) | 2023.07.09 |
---|---|
[AWS] RDS 다른 계정으로 이전 (1) | 2023.07.09 |
[AWS] 다른 AWS 계정으로 EC2 인스턴스 이전하는 방법 (2) | 2023.07.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