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작 앞서 포스팅된 AWS에 도메인을 연결하는 과정을 진행한 후 기존의 서비스와 같이 HTTPS를 적용하기 위해 작성되었습니다. 기본적으로 AWS에서 EC2 인스턴스로 서버를 만들게 되면, SSL보안이 적용되지 않은 HTTP가 설정됩니다. 실제로 서비스를 하기 위해서는 SSL보안 설정이 매우 기본이기 때문에, SSL을 적용시키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설명 AWS의 EC2를 활용해 서버를 배포하려 할 때 로드밸런서를 사용하는 이유 보안 강화: 로드 밸런서를 사용하면, AWS의 ACM(AWS Certificate Manager)를 통해 SSL/TLS 인증서를 쉽게 관리하고, 그 인증서를 로드 밸런서에 적용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데이터 전송 중 보안이 강화됩니다. 확장성 향상: 로드 밸런서를 사용하면,..
앞서 포스팅된 다른 계정의 EC2를 AMI로 복제하여 설정하는 과정을 진행한 후 기존의 서비스와 같이 도메인을 연결하기 위해 작성 되었습니다. 본 글에서는 AWS에서 도메인을 사용하기 위해서 Route53이라는 서비스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 보고자 합니다. 해당 서비스는 유료이며 일정 금액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준비 해당 글은 추후에 올라올 HTTPS를 적용하기 위해서 준비되는 과정 중 하나 입니다. 또한 HTTPS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Domain이 필요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Namecheap, 가비아 등과 같은 서비스를 통해서 도메인을 미리 구매하시기 바랍니다. AWS 호스팅 영역 생성 AWS의 Route53 서비스에 접속을 하게 되면 위의 화면을 찾으 실 수 있습니다. 호스팅 영역 생성 버튼..
본 글은 이전에 포스팅 되었던 글과 같은 목적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시작 이번에는 파이널 프로젝트 당시에 사용되었던 RDS를 이전하는 작업을 포스팅 하겠습니다. 비교적 간단한 작업입니다. CMK( 고객 관리형 키) 생성 원본 계정에서 KMS의 고객 관리형 키를 생성한다. 해당 서비스는 KMS 섹션에 들어가면 찾을 수 있습니다. 키 생성 버튼을 클릭하고 해당 옵션들을 선택 한 뒤 다음 버튼을 눌러 아래의 사진처럼 기본 설정을 해줍니다. 키 관리 권한 정의 해당 관리자 권한을 정의 합니다. 키 사용 권한 정의 그 후 원본 계정에서 사용하는 사용자와 이전 할 계정 번호 12자리를 추가합니다. 그러면 아래처럼 키가 생성되었습니다.(별칭이 바뀐 이유는 중간에 설정을 잘못 만져서 그렇습니다…ㅎㅎ) RDS 스냅샷 생성..
안녕하세요. 오늘은 다른 계정으로 EC2 인스턴스를 이전하는 방법을 포스팅 하려고 합니다. 이 기능은 파이널 프로젝트 때 사용했던 공용 AWS계정에서 EC2 인스턴스를 복제하여 앞으로 서비스 될 계정에 옮기기 위한 작업 입니다. 사실 파이널 프로젝트의 작업을 먼저 작성하고 하려했지만… 해당 작업이 우선이기에 먼저 작성하게 됐습니다 더하여 말이 조금 다른게 다른 계정으로 EC2 인스턴스 자체를 이동시키는 것은 불가능하고, EC2 AMI를 공유해서 옮길 계정에 새로 EC2 인스턴스의 이미지를 받아와 새로 인스턴스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EC2 이미지 생성 옮기고 싶은 인스턴스를 선택하고 우클릭으로 이미지 생성을 누릅니다. 이미지의 이름을 작성하고 설명이 필요하다면 작성 후 이미지 생성을 누릅니다. 권한 편집..